1. 내가 바라봤던 하드코딩, 앞으로 바라볼 하드코딩저는 개발을 처음배울 때, 그러니까 고1때 주위에서 이런 말이 많이 들려왔어요."야. 하드코딩은 초짜나 하는 거야.", "자기 실력이 부족하니까 하드코딩으로 때우지 쯧쯧."등등 하드 코딩에 대한 부정적인 이야기를 많이 듣고 자라왔습니다. 그래서 그 때 당시에 저는 '하드코딩은 절대로 하면 안되겠다.' 라고 생각했었죠. 하지만 시간이 조금 흐른 후 회사에 취직하고 다른 개발자분들과 이야기 하면서 하드코딩에 대한 존재를 다시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게 됬어요. ' 하드코딩이란 코드에 직접 값을 입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 결국 주위에서 그렇게 하지말라고 했던 하드코딩은 필수적으로 해야만 했던 것이죠.2. 하드코딩을 해야하는 이유하드코딩을 해야하는 가장 큰 이유..
처음 해본 API프로젝트입니다. 만들게 된 이유는 많은 API들을 보았지만 한국어로 된 성격유형 API는 보지 못해 만들게 되었습니다. https://github.com/blueheart753/korean-personality-api1. 프로젝트 소개Personality(성격유형)사람의 성격은 정말 다양합니다. 긍정적인, 용감한, 무뚝뚝한 등 세상을 살아가면 수많은 성격을 볼 수 있습니다. 저는 그런 사람들의 성격을 모아서 API로 만들면 좋겠다고 생각해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사실상 데이터들은 제가 떠올린 것들을 적어내다 보니 중복되거나 엉뚱한 것들이 끼어있을 수 있어요.프로젝트 기간2024년 5월 24일 ~ 2024년 5월 27일 (3일)기술스택ServerlessNode-Express구현기능랜덤으로 ..